맨위로가기

리만 다양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만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리만 계량을 부여하여 정의되는 개념이다. 리만 계량은 각 점의 접공간에 양의 정부호 내적을 할당하여 길이와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리만 다양체는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매장, 거리 공간 구조, 레비치비타 접속, 리만 곡률, 측지선 등의 성질을 가지며, 유클리드 공간, 초구, 원환면 등이 그 예시이다. 1827년 가우스의 뛰어난 정리에서 시작되어, 베른하르트 리만에 의해 일반화되었고,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응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만 다양체 - 준 리만 다양체
    준 리만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대칭적이고 비자명적인 성질을 갖는 매끄러운 (0,2)-텐서장인 계량 텐서가 갖추어진 다양체이며, 계량 텐서가 양의 정부호일 경우 리만 다양체가 되고, 특히 부호수가 (dim M-1,1)인 다양체는 로런츠 다양체라고 불린다.
  • 리만 다양체 - 아인슈타인 다양체
    아인슈타인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계량 텐서에 상수배가 되는 준 리만 다양체로,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 중력, 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켈러-아인슈타인 다양체와 사사키-아인슈타인 다양체가 그 예시이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리만 다양체

2. 정의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공변접다발 T^*M의 2차 대칭승 \operatorname{Sym}^2T^*M 벡터 다발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접다발의 대칭승 \operatorname{Sym}^2TM의 쌍대 다발과 같다. 이 벡터 다발은 M 위의 n(n+1)/2차원 벡터 다발이다.

\operatorname{Sym}^2T^*M의 매끄러운 단면은 M의 각 점 x\in M에서의 접공간 T_xM 위에 쌍선형 형식을 정의한다. \operatorname{Sym}^2T^*M(T^*M)^{\otimes2}의 부분 공간이 되므로, \operatorname{Sym}^2T^*M의 매끄러운 단면은 M 위의 (0,2)-텐서장으로 생각할 수 있다.

M 위에,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시키는 \operatorname{Sym}^2T^*M의 매끄러운 단면 g\in\Gamma(\operatorname{Sym}^2T^*M) 를 리만 계량이라고 정의한다. 리만 계량을 갖춘 매끄러운 다양체 (M,g)를 '''리만 다양체'''라고 한다.

두 리만 다양체 (M,g_M), (N,g_N) 사이의 '''등거리 변환'''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매끄러운 함수 f\colon M\to N이다.


  • 임의의 x\in MX,Y\in T_xM에 대하여, g_N(df(X),df(Y))=g_M(X,Y)


여기서 df(X)\in T_{f(x)}NXf에 대한 밂이다.

2. 1. 리만 계량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리만 계량'''(Riemann計量, Riemannian metric영어) gM의 각 점 x\in M에서의 접공간 T_xM 위에 쌍선형 형식을 정의하는, 공변접다발의 2차 대칭승의 매끄러운 단면이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양의 정부호성) 임의의 x\in MX\in T_xM에 대하여, 만약 X\ne0이라면 g(X,X)>0


이는 각 접공간에 접벡터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내적)를 제공한다.

두 벡터를 포함하는 구의 접평면. 리만 계량은 이러한 벡터의 내적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x^1,\ldots,x^n):U\to\mathbb{R}^nM 위의 매끄러운 국소 좌표계라면,

:\left\{\frac{\partial}{\partial x^1}\Big|_p,\dotsc, \frac{\partial}{\partial x^n}\Big|_p\right\}

벡터들은 모든 p\in U에 대해 벡터 공간 T_pM의 기저를 이룬다. 이 기저에 대해, 각 점 p에서의 리만 계량의 성분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g_{ij}|_p:=g_p\left(\left.\frac{\partial }{\partial x^i}\right|_p,\left.\frac{\partial }{\partial x^j}\right|_p\right).

n^2개의 함수 g_{ij}:U\to\mathbb{R}U 위의 n\times n 대칭 양의 정부호 행렬값 함수로 표현 가능하다.

텐서 대수의 관점에서, 리만 계량은 쌍대 기저 \{ dx^1, \ldots, dx^n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g=\sum_{i,j}g_{ij} \, dx^i \otimes dx^j.

리만 계량은 접다발과 여접다발 사이에 매끄러운 벡터 다발의 동형사상을 유도한다.

2. 2. 리만 다양체

리만 계량은 유한 차원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정의되지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 '''약한 리만 계량''': 매끄러운 함수 g|지영어 : TM × TM → ℝ이며, 모든 x|엑스영어 ∈ M에 대해 제한 g|지영어 : TM × TM → ℝ가 TM 위의 내적이다.
  • '''강한 리만 계량''': g|지영어가 TM 위의 위상을 유도하는 약한 리만 계량이다. g|지영어가 강한 리만 계량이라면, M은 힐베르트 다양체여야 한다.
  • 만약 (H, ⟨⋅, ⋅⟩)가 힐베르트 공간이라면, 모든 x|엑스영어 ∈ H에 대해, H를 TH와 동일시할 수 있다. 모든 x|엑스영어, u|유영어, v|브이영어 ∈ H에 대해, 계량 g|지영어(u|유영어,v|브이영어) = ⟨u|유영어, v|브이영어⟩는 강한 리만 계량이다.
  • (M|엠영어, g|지영어)를 콤팩트 리만 다양체라고 하고, Diff|미분동형사상영어(M)을 그 미분동형사상 군으로 나타내자. 후자는 매끄러운 다양체이며(여기 참조), 실제로 리 군이다. 항등원에서의 접다발은 M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집합이다. μ를 M 위의 부피 형식이라고 하자. ''L|엘영어 약한 리만 계량 on Diff|미분동형사상영어(M)''은 G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에프영어∈Diff|미분동형사상영어(M), u|유영어, v|브이영어 ∈ TDiff|미분동형사상영어(M)라고 하자. 그러면 x|엑스영어 ∈ M, u|유영어(x|엑스영어) ∈ TM에 대해,
  • :G(u|유영어,v|브이영어) = ∫ g|지영어 (u|유영어(x|엑스영어),v|브이영어(x|엑스영어)) d|디영어μ (x|엑스영어)이다.

2. 3. 등거리 변환

두 리만 다양체 $(M,g)$와 $(N,h)$가 있을 때, 미분 동형 사상 $f:M\to N$가 $g=f^\ast h$를 만족하면 '등거리 변환'이라고 부른다. 즉, 모든 $p\in M$과 $u,v\in T_pM$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g_p(u,v)=h_{f(p)}(df_p(u),df_p(v))$

예를 들어, 평행 이동과 회전은 모두 유클리드 공간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등거리 변환이다.

미분 동형 사상이라고 가정하지 않은 매끄러운 사상 $f:M\to N$에 대해, 모든 $p\in M$이 $f:U\to f(U)$가 등거리 변환(따라서 미분 동형 사상)이 되는 열린 근방 $U$를 가지면, 이를 '국소 등거리 변환'이라고 한다.

3. 성질

모든 매끄러운 다양체는 내시 매장 정리에 따라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리만 다양체는 곡선의 길이를 통해 정의되는 거리 함수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거리 공간의 구조를 가진다.

리만 다양체 위에는 리만 계량을 보존하고 비틀림이 없는 유일한 아핀 접속인 레비치비타 접속이 존재한다.[1] 이를 통해 벡터장의 평행 이동과 곡률을 정의할 수 있다. 측지선은 리만 다양체 위에서 국소적으로 거리를 최소화하는 곡선이다.

3. 1.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매장

내시 매장 정리에 따르면, 모든 연결 리만 다양체는 충분히 높은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에 등거리 매장될 수 있다. 즉, 리만 다양체는 내재적으로 정의하는 대신 항상 외재적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여길 수 있다.

내시 매장 정리는 임의의 매끄러운 리만 다양체 (M,g)에 대해, F\colon M\to\mathbb{R}^N가 존재하여, F에 의한 \mathbb{R}^N의 표준 리만 계량의 당김이 g가 되도록 하는 N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R'''''n'' 위의 부분 다양체가 리만 계량 ''g''를 갖는 경우, ''g''는 각 접벡터 공간에서의 '''R'''''n'' 위의 내적으로부터 제한된다. 실제로, 내시 매장 정리에 따르면, 모든 리만 다양체는 이와 같이 '''R'''''n'' 위의 내적을 어떤 방식으로든 다양체 위에 사상함으로써 실현된다.

3. 2. 거리 공간 구조

연결 리만 다양체는 자연스럽게 거리 공간의 구조를 가진다. 모든 하우스도르프 파라콤팩트 다양체는 거리화 가능 공간이지만, 리만 계량과 같은 구조 없이는 거리 함수를 표준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

연결 리만 다양체 (M,g) 위의 매끄러운 곡선 \gamma\colon[0,1]\to M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L(\gamma)=\int_0^1\sqrt{g(\dot\gamma(t),\dot\gamma(t))}\,dt\in[0,\infty)

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화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s\colon[0,1]\to[0,1]에 대하여, L(\gamma\circ s)=L(\gamma)이다.

임의의 두 점 x,y\in M 사이의 거리(distance영어)는 두 점 사이를 잇는 곡선들의 길이의 하한이다.

:d(x,y)=\inf_{\gamma\colon[0,1]\to M}^{\gamma(0)=x,\;\gamma(1)=y}L(\gamma)

이는 거리 함수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며, 추가로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연결 공간이 아닌 리만 다양체의 경우, 각 연결 성분 위에 유한한 거리를 정의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연결 성분 위에 있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무한대가 된다.

'''정리:''' (M,d_g)거리 공간이고, (M,d_g)의 거리 위상은 M의 위상과 일치한다.

리만 다양체는 거리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연속적이고 미분 가능한 곡선 γ: [''a'', ''b''] → ''M''이 리만 다양체 ''M'' 위에서 주어질 때, 이 곡선의 길이 ''L''(γ)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L(\gamma) = \int_a^b \|\gamma'(t)\|\, \mathrm{d}t.

이 정의에서 모든 연결 리만 다양체 ''M''은 거리 공간이 되며, 점 ''x''와 점 ''y'' 사이의 거리 ''d'' (''x'', ''y'')는 다음과 같다.

:''d'' (''x'',''y'') = inf { ''L''(γ) : γ는 ''x''와 ''y''를 잇는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한 곡선 }

3. 3. 레비치비타 접속

레비치비타 접속은 리만 다양체에서 리만 계량을 보존하고 비틀림이 없는 유일한 아핀 접속이다.[1] 즉,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유일한 접속이다.[1]

  • 벡터의 평행 운송은 리만 계량에 대한 길이를 보존한다.
  • 비틀림이 0이다.


여기서 비틀림이 없다는 조건은 \nabla_X Y - \nabla_Y X = [X,Y] 로 표현되는데, [\cdot,\cdot]는 리 괄호이다.[1]

레비치비타 접속의 존재성과 유일성은 리만 계량이 고정되면 보장된다.[1] 이는 리만 다양체의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구면에서 곡선을 따라 접선 벡터의 평행 이동


평행 이동은 리만 다양체에서 곡선을 따라 벡터를 한 접공간에서 다른 접공간으로 이동하는 방법이다. 주어진 접속에 대해 평행 이동을 수행하는 고유한 방법이 존재한다.[1]

아래 이미지는 천공 평면 \mathbb R^2 \smallsetminus \{0,0\}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리만 계량에 연결된 레비치비타 접속에 의해 유도된 평행 이동을 보여준다. 평행 이동이 수행되는 곡선은 단위원이다. 극좌표계에서 왼쪽의 계량은 표준 유클리드 계량 dx^2 + dy^2 = dr^2 + r^2 \, d\theta^2이고, 오른쪽의 계량은 dr^2 + d\theta^2이다.

3. 4. 리만 곡률

리만 다양체의 리만 곡률레비치비타 접속의 곡률이다. 리만 곡률은 리만 다양체가 얼마나 휘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리만 곡률 텐서장을 축약하여 리치 곡률, 바일 곡률, 스칼라 곡률, 아인슈타인 텐서를 정의할 수 있다.

리만 곡률 텐서는 작은 직사각형을 따라 벡터를 평행 이동시키는 것이 항등 사상이 아닌 정도를 정확히 측정한다. 리만 곡률 텐서는 다양체가 유클리드 공간과 국소적으로 등거리일 때에만 모든 점에서 0이다.

M에 대한 접속 \nabla를 고정하면, 리만 곡률 텐서R : \mathfrak X(M) \times \mathfrak X(M) \times \mathfrak X(M) \to \mathfrak X(M)로 정의되는 사상이다.

:R(X, Y)Z = \nabla_X\nabla_Y Z - \nabla_Y \nabla_X Z - \nabla_{[X, Y]} Z

여기서 [X, Y]벡터장의 리 괄호이다. 리만 곡률 텐서는 (1,3)-텐서장이다.

3. 5. 측지선

측지선은 내재적인 가속도가 없는 곡선이다. 바꿔 말하면, 측지선은 두 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국소적으로 따르는 곡선이다. 이것들은 유클리드 공간에서 직선을 임의의 리만 다양체로 일반화한 것이다. 리만 다양체에 사는 개미가 가속하거나 돌리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똑바로 걸어간다면, 측지선을 따라갈 것이다.

만약 (M,g)가 리만 다양체이고, \gamma : [0,1] \to M가 매끄러운 곡선이라면, "\gamma의 가속도"는 \gamma를 따라가는 벡터장 D_t\gamma'이다. 모든 t에 대해 D_t\gamma' = 0이면, \gamma를 "측지선"이라고 부른다.

모든 p \in Mv \in T_pM에 대해, \gamma(0) = p이고 \gamma'(0) = v인, 0을 포함하는 열린 구간 I에서 정의된 측지선 \gamma : I \to M이 존재한다. 그러한 두 측지선은 공통 영역에서 일치한다. \gamma(0) = p이고 \gamma'(0) = v를 만족하는 측지선이 존재하는, 0을 포함하는 모든 열린 구간 I에 대한 합집합을 취하면, \gamma(0) = p이고 \gamma'(0) = v를 만족하는 모든 측지선이 제한된 "최대 측지선"이라고 부르는 측지선을 얻는다.

\gamma와 동일한 끝점을 갖는 임의의 허용 가능한 곡선에서 가장 짧은 길이를 갖는 모든 곡선 \gamma : [0,1] \to M은 측지선이다(단위 속도 재매개변수화에서).

  • 유클리드 평면 \mathbb R^2의 상수가 아닌 극대 측지선은 정확히 직선이다. 이는 두 점 사이의 최단 경로는 선분이라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사실과 일치한다.
  • 둥근 계량을 갖는 S^2의 상수가 아닌 극대 측지선은 정확히 대원이다. 지구는 대략 구형이므로, 이는 비행기가 지구상의 두 지점 사이를 비행할 수 있는 최단 경로는 대원의 일부임을 의미한다.


4. 예시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초구 \mathbb S^n, 원환면 \mathbb T^n은 모두 리만 다양체의 예시이다. 반단순 리 군은 킬링 형식이 양의 정부호이므로 리만 계량을 이루며, 따라서 표준적으로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리만 다양체 (M,g_M)과 그 속에 몰입된 부분 다양체 \iota\colon N\hookrightarrow M가 주어졌다면, g_M(X,Y)=g_M(d\iota(X),d\iota(Y))\qquad\forall x\in N,\;X,Y\in T_xN 와 같이 리만 계량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d\iota(X)\in T_{\iota(x)}NX의 밂이며, (M,g_M)은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x^1,\ldots,x^n\mathbb{R}^n 상의 표준 좌표라고 할 때, (정규) 유클리드 계량 텐서 g^\text{can}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g^\text{can}\left(\sum_i a_i \frac{\partial}{\partial x^i}, \sum_j b_j \frac{\partial}{\partial x^j} \right) = \sum_i a_i b_i

: g^\text{can} = (dx^1)^2 + \cdots + (dx^n)^2

: g_{ij}^\text{can} = \delta_{ij} (여기서 \delta_{ij}크로네커 델타)

이를 행렬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g_{ij}^\text{can}) = \begin{pmatrix}

1 & 0 & \cdots & 0 \\

0 & 1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1

\end{pmatrix}.

리만 다양체 (\mathbb{R}^n,g^\text{can})을 유클리드 공간이라고 부른다.

라운드 메트릭을 갖는 n차원 초구 S^n\mathbb R^{n+1}의 매립된 리만 부분다양체이다.


(M,g)를 리만 다양체, i : N \to MM의 immersed 부분다양체 또는 embedded 부분다양체라고 할 때, g당김 i^*gN 위의 리만 메트릭이며, (N, i^*g)(M,g)의 리만 부분다양체라고 한다.

N \subseteq M인 경우, 사상 i : N \to Mi(x) = x로 주어지며, 메트릭 i^*gN을 따라 접하는 벡터로의 g의 제한이다. 일반적으로 i^*g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i^*g_p(v,w) = g_{i(p)} \big( di_p(v), di_p(w) \big),

여기서 di_p(v)i에 의한 v의 pushforward이다.

다음은 리만 부분다양체의 예시이다.

  • 초구: S^n=\{x\in\mathbb{R}^{n+1}:(x^1)^2+\cdots+(x^{n+1})^2=1\}은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1}의 매끄러운 매립된 부분다양체이다. 이것이 S^n에 유도하는 리만 메트릭을 라운드 메트릭 또는 표준 메트릭이라고 한다.
  • 실수 a,b,c를 고정한 타원체: \left\{(x,y,z) \in \mathbb R^3 : \frac{x^2}{a^2} + \frac{y^2}{b^2} + \frac{z^2}{c^2} = 1 \right\}은 유클리드 공간 \mathbb R^3의 매끄러운 매립된 부분다양체이다.
  • 매끄러운 함수 f:\mathbb{R}^n\to\mathbb{R}그래프는 표준 메트릭을 갖는 \mathbb{R}^{n+1}의 매끄러운 매립된 부분다양체이다.
  • (M,g)가 단일 연결되지 않은 경우, 덮개 사상 \widetilde{M}\to M이 존재하며, 여기서 \widetilde MM의 보편 덮개이다. 이것은 국소적으로 미분 동형이므로 immersion이며, \widetilde M은 자동으로 리만 메트릭을 상속받는다. 같은 원리에 의해, 리만 다양체의 모든 매끄러운 덮개 공간은 리만 메트릭을 상속받는다.


반면에, N이 이미 리만 메트릭 \tilde g를 가지고 있다면, immersion (또는 embedding) i : N \to M\tilde g = i^* g인 경우 등거리 immersion (또는 등거리 embedd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등거리 immersion과 등거리 embedding은 리만 부분다양체이다.

토러스는 정사각형의 반대쪽 면을 식별하여 얻은 유클리드 메트릭을 자연스럽게 갖는다(왼쪽). 결과적인 리만 다양체는 평평한 토러스라고 불리며,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등거리적으로 임베디드될 수 없다(오른쪽).

(M,g)(N,h)를 두 개의 리만 다양체라고 하고, 곱 다양체 M\times N를 고려해 보자. 리만 메트릭 gh는 자연스럽게 M\times N에 리만 메트릭 \widetilde{g}를 부여한다.

  • 분해 T_{(p,q)}(M\times N) \cong T_pM \oplus T_qN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widetilde{g}_{p,q} ((u_1, u_2), (v_1, v_2)) = g_p(u_1, v_1) + h_q(u_2, v_2).

  • 만약 (U,x)M에 대한 부드러운 좌표 차트이고 (V,y)N에 대한 부드러운 좌표 차트라면, (U \times V, (x,y))M \times N에 대한 부드러운 좌표 차트이다. g_U를 차트 (U,x)에서 g의 표현, h_V를 차트 (V,y)에서 h의 표현이라고 하면, 좌표 (U \times V,(x,y))에서 \widetilde{g}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
  • :\widetilde{g} = \sum_{ij} \widetilde{g}_{ij} \, dx^i \, dx^j 여기서 (\widetilde{g}_{ij}) = \begin{pmatrix} g_U & 0 \\ 0 & h_V \end{pmatrix}.


예를 들어, n-토러스 T^n = S^1\times\cdots\times S^1을 고려해 보자. 각 S^1의 복사본에 둥근 메트릭이 주어지면, 곱 리만 다양체 T^n을 평평한 토러스라고 한다. 또 다른 예로, 각 \mathbb R의 복사본에 유클리드 메트릭이 있는 리만 곱 \mathbb R \times \cdots \times \mathbb R은 유클리드 메트릭을 가진 \mathbb R^n과 등거리이다.

  • 유클리드 평면 \mathbb R^2의 상수가 아닌 극대 측지선은 정확히 직선이다. 이는 두 점 사이의 최단 경로는 선분이라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사실과 일치한다.
  • 둥근 계량을 갖는 S^2의 상수가 아닌 극대 측지선은 정확히 대원이다. 지구는 대략 구형이므로, 비행기의 최단 경로는 대원의 일부이다.


리만 다양체는 모든 단면 곡률이 상수 \kappa와 같을 때 상수 곡률 \kappa를 갖는다고 한다. 이는 임의의 좌표 차트에 대해 리만 곡률 텐서가 메트릭 텐서로 표현될 수 있다는 조건과 동등하다.

:R_{ijkl}=\kappa(g_{il}g_{jk}-g_{ik}g_{jl}).

이는 리치 곡률이 R_{jk} = (n - 1)\kappa g_{jk}로 주어지고 스칼라 곡률n(n - 1)\kappa임을 의미하며, 여기서 n은 다양체의 차원이다. 특히 상수 곡률을 갖는 모든 리만 다양체는 아인슈타인 다양체이며, 따라서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다.

리만 공간 형태는 상수 곡률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측지선 완전한 리만 다양체이다. 곡률이 양수이면 구면 공간 형태, 0이면 유클리드 공간 형태, 음수이면 쌍곡 공간 형태 또는 쌍곡 다양체라고 한다. 표준 리만 메트릭을 갖는 구, 유클리드 공간, 쌍곡 공간은 각각 상수 곡률 1, 0, -1의 리만 공간 형태이다. 킬링-호프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단일 연결 구면 공간 형태는 구에 호모테틱하고, 임의의 단일 연결 유클리드 공간 형태는 유클리드 공간에 호모테틱하며, 임의의 단일 연결 쌍곡 공간 형태는 쌍곡 공간에 호모테틱하다.

덮개 다양체 구성을 사용하면 임의의 리만 공간 형태는 특정 등거리 사상 그룹의 작용을 제외하고 단일 연결 리만 공간 형태의 몫 다양체에 등거리 사상이다. 예를 들어, n-구의 등거리 사상 그룹은 직교군 O(n + 1)이다. 1을 고유값으로 갖는 항등 행렬만을 갖는 유한 부분군 G가 주어지면, n-구에 대한 직교군의 자연스러운 그룹 작용은 G의 그룹 작용으로 제한되며, 몫 다양체 S^n / G는 상수 곡률 1의 측지선 완전한 리만 메트릭을 상속한다. 호모테틱까지, 모든 구면 공간 형태는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유클리드 공간 및 쌍곡 공간 형태의 경우, 유클리드 공간 및 쌍곡 공간의 등거리 사상 그룹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마찬가지로 군론으로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원 유클리드 공간 형태의 클래스에는 클라인 병, 뫼비우스의 띠, 토러스, 원통 S^1 \times \mathbb R에 대한 리만 메트릭과 유클리드 평면이 포함된다.

리 군 G의 경우, 군 구조를 사용하여 항등원에서의 접공간에 대한 임의의 내적을 모든 다른 접공간으로 전송하여 리만 계량을 정의할 수 있다. 항등원에서의 접공간에 대한 내적 g_e가 주어지면, 임의의 점 p에서의 접공간에 대한 내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_p(u,v)=g_e(dL_{p^{-1}}(u),dL_{p^{-1}}(v)),

여기서 L_x는 점 yxy로 보내는 왼쪽 곱셈 사상 G \to G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리만 계량은 '좌불변'이다.

리 군에서의 좌불변 및 쌍불변 계량은 리만 다양체의 중요한 예시가 된다. 베르제 구는 특수 유니타리 군 SU(2)에 대한 좌불변 계량으로 구성되며, 단순히 연결된 리만 다양체가 큰 곡률 없이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는 붕괴 다양체 현상의 가장 간단한 예 중 하나이다. 또한 스칼라 곡률은 일정하지만 아인슈타인 계량이 아니고, 심지어 리치 곡률이 평행하지도 않은 리만 계량의 예시를 제공한다. 쌍곡 공간은 계량이 좌불변이 되는 리 군 구조를 가질 수 있다.[1]

리만 다양체 (M, g)M의 모든 점 xy에 대해, xy로 보내는 등거리 변환 f가 존재하면 균질이다. 이는 군 작용의 언어로, 등거리 변환군의 자연스러운 작용이 추이적이라는 요구 조건과 같다. 모든 균질 리만 다양체는 측지선 완전하며,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다.

연결된 리만 다양체 (M, g)M의 모든 점 p에 대해 p를 고정점으로 하고, p에서의 미분의 부정이 항등 사상인 등거리 변환이 존재하면 대칭이다. 모든 리만 대칭 공간은 균질 공간이며, 측지선 완비이고,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다. 리만 대칭 공간은 리만 곡률 텐서와 리치 곡률이 평행 이동된다는 강력한 곡률 속성을 갖는다.

리만 다양체의 많은 기본적인 예는 대칭적이다. 표준 메트릭을 갖는 구와 실사영 공간, 쌍곡 공간, 복소 사영 공간, 사원수 사영 공간, 케일리 평면, 복소 쌍곡 공간, 사원수 쌍곡 공간, 케일리 쌍곡 공간, 그래스만 다양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1. 확장 불가능 완비 다양체

3차원 공간에서 꼭짓점을 제거한 원뿔을 생각하자.

:\{(x,y,z)\colon x^2+y^2=z^2,\;z>0\}

이는 확장 불가능 리만 다양체이지만, 완비 다양체는 아니다. 왜냐하면 꼭짓점을 향하는 측지선은 유한한 시간 안에 꼭짓점에 도달하여 더 이상 연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1]

5. 역사

1827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3차원 공간에 놓인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곡면 내에서 이루어진 국소 측정(제1 기본 형식)에만 의존한다는 뛰어난 정리(Theorema Egregium)를 발표하였다. 이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곡면의 내재적 속성임을 의미한다.

베른하르트 리만은 1854년에 리만 다양체와 그 곡률을 비엄밀하게 도입하였다.[1] 리만 다양체의 개념은 이후 헤르만 바일, 엘리 카르탕, 툴리오 레비-치비타 등에 의해 엄밀하게 정의되었다. 엘리 카르탕은 최초의 접속 개념 중 하나인 카르탕 접속을 도입했고, 레비-치비타는 리만 다양체에 대한 특수한 접속인 레비-치비타 접속을 정의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유사 리만 다양체 이론을 사용했다.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은 4차원 유사 리만 다양체인 시공간의 곡률에 대한 제약 조건이다.

6. 응용

리만 다양체의 개념은 1828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증명한 뛰어난 정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곡면이 3차원 공간에 어떻게 매립되는지에 의존하지 않고, 단순히 각도나 길이를 정하는 계량 텐서에만 의존한다는 것이다. 가우스의 제자였던 리만은 가우스의 정리를 다양체라고 불리는 고차원 공간으로 확장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에서 리만 다양체의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리만 거리란 다양체 상의 각 점에 주어진 계량 텐서에 의해 점과 점을 잇는 거리를 다양화한 것이다. 리만 거리를 사용하면, 각도나 곡선의 길이 등의 기하학적 성질이 다양체 상에서 정의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